본문내용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갯벌의 형성과정

유입하천 풍부한 영양 염류나 기타 해산동물 등 먹이가 되는 유기쇄설물을 갯벌에 공급한다.

갯벌이 형성되려면 후미나 내만(內灣)으로 어느 정도 폐쇄되어 해안을 침식하는 파랑의 작용이 약하게 발생하거나 육지로부터 퇴적물질들이 유입될 수 있는 강이나 하천이 바다와 접하고 있어 뻘이나 모래 같은 작고 가벼운 입자들이 있어야 한다.

이 과정 속에서 유입하천은 토사를 운반하면서 육지로부터 풍부한 영양염류나 기타 해산동물(海産動物)의 먹이가 되는 유기쇄설물(有機碎屑物)을 갯벌에 공급하는 매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기도 한다.

또한, 물이 빠졌을 때(간조) 드러나는 평평한 부분에 넓게 펼쳐지려면 밀물과 썰물 때 나타나는 해수면의 차이 즉, 조차가 크고 평탄한 지형과 이들이 쌓일 수 있는 오랜 시간이 필요하다.

게 사진

강으로부터 유입되는 퇴적물들이 황해의 갯벌을 형성하는데 큰 역할을 하였다.

우리나라에는 서해에서 남해에 걸쳐 넓은 갯벌들이 잘 형성되어 있다.

우리 나라 갯벌의 넓이는 2천 8백㎢로 서울 면적의 약 여섯 배이며, 우리나라 전체 면적의 3%나 차지하고 있다.

이 중 83%가 서해안에 있고, 17%가 남해안에 있다. 지역별로 살펴보면 전체 갯벌이 44%가 전라남도에 있고, 인천 및 경기도에 35%, 충청남도에 13%, 전라북도에 5%, 부산 및 경상남도에 3% 정도가 있다.

갯벌이 잘 발달된 곳은 전 세계적으로도 몇 군데 없다. 우리나라 서남해안 갯벌은 캐나다 동부 해안, 미국 동부 해안, 영국·독일·네덜란드 북부해안, 브라질 아마존강 하구와 더불어 세계 5대 갯벌의 하나로 꼽힌다.

우리나라 서남해안의 경우, 육지의 흙이 비에의해 침식되어 강이나 하천으로 운반되어졌고 그 중 가벼운 입자들이 강하구로 유입되면서 바다까지 흘러 들어갔다.

이런 경로를 통하여 유입된 퇴적물들이 쌓여서 8천년의 역사를 가진 서해바다와 갯벌을 만들어 왔다.

중국의 양자강과 황하, 우리나라의 한강 등 세계적으로 큰 강으로부터 유입된 퇴 적물들이 서남해안의 갯벌을 형성하는데 큰 역할을 하였다.

서남해안 갯벌 지도로 갯벌(1998년 기준):석모도 석모도갯벌, 강화도 강화도갯벌, 대부도 갯벌, 제부도 갯벌, 웅도갯벌, 꽃지갯벌, 춘장대갯벌, 송석리갯벌, 변산갯벌, 무안갯벌, 진도갯벌, 송호갯벌, 보성·벌교갯벌이 나타나 있고, 간척 또는 매립된 갯벌 : 소래갯벌, 대부도갯벌, 오이도갯벌, 장고항갯벌, 간월도갯벌, 새만금갯벌이며  갯벌 주변의 주요도시로는 김포, 안산, 화성, 당진, 태안, 서산, 아산, 보령, 서천, 군산, 부안, 영광, 함평, 무안, 해남, 강진, 벌교, 순천, 광양, 고흥이 나타나있다. 자료제공: 사계절 출판사, 조광현 (일러스트레이션) 감수: 한국해양연구원 김웅서 박사, 정보디자인 : 정보공학연구소

갯벌의 형성과정

지구 일러스트 1

지금으로부터 8천년전, 우리나라 서해는 중국땅과 연결된 육지였다.



지구 일러스트 2

이곳에 빙하가 흘러들어와 바다가 생성되었다.



퇴적물에 따른 갯벌 일러스트 1

조수 간만의 차가 크고 경사가 완만 한데다 퇴적물이 많이 쌓여 갯벌이 형성되었다.



갯벌 일러스트 2

갯벌도 언젠가는 육지로 변한다. 육지쪽에서 오는 퇴적물들이 갯벌 바닥보다 높은 둔덕을 만들면 이 곳에 식물이 자라기 시작한다. 처음에는 해홍나물이나 퉁퉁마디가 자라다가 점점 갈대나 해송도 들어와 자라게 된다. 해송이 자라면 육지로 변했다고 할 수 있다.



QR CODE

오른쪽 QR Code 이미지를 스마트폰에 인식시키면 자동으로 이 페이지로 연결됩니다.
이 QR Code는 현재 페이지 의 정보를 담고 있습니다.

현재페이지로 연결되는 QR코드

현재페이지에서 제공되는 서비스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콘텐츠 담당부서 : 순천만보전과 (061-749-6072)

만족도결과보기

공공누리의 제4유형

[출처표시-비상업적-변경금지]
출처표시/비상업적 이용만 가능/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