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동천 갈대밭 수질

동천 갈대밭에 의한 질소 제거

갈대가 밀집군락을 이루는 지역을 중심으로 약 1.5km 떨어진 동천의 두 지점을 선정하고, 제거되는 질소와 인 등의 오염물질의 양을 측정하여 보았다.

두 지점을 지나면서 지속적으로 주변으로부터 하수와 농업폐수가 유입됨에도 불구하고 질소와 인은 약 40% 정도가 감소하였으며 COD 측면에서 본다면 약 32% 정도가 감소하였다.

따라서 갈대밭과 토양의 펄흙을 통과하면서 상당량의 질소와 인 및 현탁성 유기물질들이 제거되는 것으로 여겨진다.

갈대밭을 통하면서 제거되는 질소와 인은 갈대 식물의 뿌리에서도 흡수되어 제거되기도 하지만, 펄흙 속에 들어 있는 여러 미생물들의 작용으로도 제거된다.

이들 제거된 영양염류와 현탁성 유기물은 갯벌에 서식하는 다양한 생물들의 먹이로 이용되어 갯벌의 1차 생산성을 비롯하여 다양한 먹이단계의 생물들의 생산성을 높이는데 기여할 것으로 생각된다.

동천갈대밭에 의한 질소와 인의 제거

동천이 갈대군락이 밀집되어 있는 지점을 흐르면서 질소와 인의 오염 정도가 감소하였다. 이러한 감소에 갈대가 미치는 영향이 어느 정도인가를 조사하기 위하여 오염이 심한 지역과 비교적 오염 정도가 양호한 지역을 선정하여 이들 지역에서 자라고 있는 갈대 식물체의 질소함량을 조사하여 보았다.

그 결과 오염도가 높은 지점인 지점 1과 지점 4에서 갈대 조직 내 질소함량이 높게 측정되었다.

이는 높은 농도로 들어 있는 수중의 질소가 갈대 식물체로 흡수됨을 알 수 있었다. 수중의 질소는 식물체의 뿌리를 통하여 유입되어 줄기로 이동하여 물질대사에 활용될 것으로 사료된다.

그러므로 부영양화의 주원인으로 작용하는 유기염류인 질소가 갈대 식물의 뿌리에 흡수되어 어느 정도 제거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동천이 갈대밭을 지나면서 수질오염도가 낮아지는데, 이는 갯벌 흙 속의 미생물의 작용과 갈대표면에 흡착되는 것에 기인하기도 하지만, 일부는 갈대 식물체에 흡수되어 제거됨을 알 수 있다.

갈대밭을 통과한 후 인의 농도변화 그래프

갈대밭을 통과한 후 질소의 농도 변화 그래프

지점별 갈대 식물체 조직 내 질소 함량 그래프

QR CODE

오른쪽 QR Code 이미지를 스마트폰에 인식시키면 자동으로 이 페이지로 연결됩니다.
이 QR Code는 현재 페이지 의 정보를 담고 있습니다.

현재페이지로 연결되는 QR코드

현재페이지에서 제공되는 서비스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콘텐츠 담당부서 : 순천만보전과 (061-749-6072)

만족도결과보기

공공누리의 제4유형

[출처표시-비상업적-변경금지]
출처표시/비상업적 이용만 가능/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