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우리나라 철새분포

철새 도래지는 대부분 물을 끼고 있다. 물과 뭍이 만나는 곳이 철새들의 보금자리다. 어류, 곡식의 낟알 등 먹이가 다양하기 때문이다. 전북군산 하구만, 서산 천수만, 을숙도, 창원 주남지, 창녕 우포늪, 순천만 대대포구, 해남 고천암포 등이 대표적인 철새 도래지이다.

철 새에게 수십km 정도는 하루 생활권이다. 겨울 철새는 한도 내에서도 추위에 따라 이동을 한다. 천수만 등 중부 지방의 경우 11~12월, 남해안 지역은 12월부터 이듬해 2월 초순에 철새가 많이 눈에 띈다. 그 때문에 초겨울엔 중부 지방. 한겨울 및 늦겨울엔 남쪽 지방이 철새들의 주 도래지가 된다.

우리나라 남해안 중서부에 위치한 순천만은 고흥 반도와 여수 반도 사이에 자리하고 있다. 순천만은 간조시에는 수백만평의 광활한 갯벌이 드러나는 갈대와 철새들의 낙원이며 갯벌생태 습지보호구역으로도 세계적인 관심을 받는 곳이다.

우리나라 주요 철새 도래지

  • 순천만 철새도래지
    갯벌이 잘 보존된 천혜의 습지로 갈대숲이 자라 새들이 둥지를 틀고 몸을 숨기기에 좋다. 흑두 루미, 도요류 등 백 종 이상의 조류가 서식하며 천연기념물 제 228호 흑두루미의 월동지로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 한강하구 철새도래지
    한강하구는 유명한 재두루미의 집단도래지로 특히 삼각주 지역은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어 있다. 최근 재두루미가 점차 사라져 가고 있으나 큰기러기, 청둥오리, 도요류, 물떼새류 등 철새들이 아직까지 이곳에 적지 않게 모여들고 있다.
  • 금강 철새도래지
    금강하구는 갈대들이 무성하게 자라고 강 중심에 모래톱이 형성되어 있고, 강 옆으로 나포 십자 들과 하구의 넓은 갯벌이 있어, 철새들에게 먹이 제공과 보금자리 역할을 하고 있다.
  • 천수만 철새도래지
    갯벌에 방조제를 쌓으며 호수와 간척지가 생겨남에 따라 희귀 조류들이 많이 찾아들고 있다. 황새, 흑두루미, 노랑부리저어새, 장다리물떼새, 논병아리류, 황로, 왜가리, 해오라기 등 우리나라 철새 종류의 절반 정도를 볼 수 있다.
  • 낙동강 철새도래지
    천연기념물 제179호로 동양 최대의 철새도래지로 알려져 있다. 먹이가 풍부하고 겨울에도 물이 얼지 않아 사계절 백 종 이상의 철새가 찾아든다. 청둥오리, 혹부리오리 등 많은 새들이 이곳에 서식한다.
전국 철새 도래지를 지도에 나타낸 그림으로 철원 평야, 속초 청초호·영랑호, 한강 밤섬, 강화 화도면 개필, 충남서산 천수만, 서천·군산 금강하구, 창녕 우포늪, 경남창원 주남저수지, 낙동강하구 을숙도, 순천만, 제주 성산포가 표기된 그림이다.

QR CODE

오른쪽 QR Code 이미지를 스마트폰에 인식시키면 자동으로 이 페이지로 연결됩니다.
이 QR Code는 현재 페이지 의 정보를 담고 있습니다.

현재페이지로 연결되는 QR코드

현재페이지에서 제공되는 서비스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콘텐츠 담당부서 : 순천만보전과 (061-749-6072)

만족도결과보기

공공누리의 제4유형

[출처표시-비상업적-변경금지]
출처표시/비상업적 이용만 가능/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