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원의 기원
정원을 뜻하는 서구어인 garden(영), garten(독), jardin(불) 등은 헤브라이어의 gan과 oden 또는 eden의 합성어인데, gan은 울타리 또는 둘러싸는 공간이나 둘러싸는 행위를 의미하며, oden은 즐거움이나 기쁨을 의미한다.
정원(Garden)의 어원 : Gan(둘러싸다) + Oden(에덴) > Garden
- 이러한 정원에서는 향수와 감상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 인공적으로 이상적인 자연을 조작하기도 하고 각종 예술품이 놓여지기도 하며 정원을 만든 사람이나 소유자의 자연관 및 취미가 나타나게 된다. 이러한 점에서 정원은 자연과 인공이 함께 결합되어 있는 일종의 예술이라고 볼 수 있다.
정원 · 식물원 · 공원 비교표
구분 | 정원 (Garden) | 숲정원 (Forest Garden) | 수목(식물)원 (arboretum) | 공원(도시공원) (Park) |
---|---|---|---|---|
개념 | 식물을 중심으로 자연물과 인공물을 배치, 전시 및 재배, 가꾸기 등이 이루어지는 공간 | 숲이 가진 생태성을 기반으로 나무, 야생화 등 정원 요소와 지역 고유의 문화가 어우러진 공간 | 수목유전자원을 수집·증식·보존 및 전시하고 자원화를 위한 학술적·산업적 연구를 하는 시설 | 도시 지역에서 자연경관을 보호하고 시민의 건강·휴양 및 정서 생활을 향상시키기 위한 시설 |
출현배경 | 산업혁명 이전부터 왕과 귀족 중심의 성곽정원, 수도원 등에서 시작 | 숲의 활용도를 높이고 주변 주민들의 소득 창출 기반을 제공하기 위한 사업 | 15C 유럽에서 약초를 재배·생산할 목적으로 시작 | 19C 산업혁명 이후 도시근로자에게 쉼터를제공하고자 출현 |
주요기능 | - 재배, 가꾸기 등 가드닝 - 조형미, 예술적 및 참여적 |
- 숲주변 생활환경 개선 - 산림의 다양성 발굴 - 산림관광 활성화 |
- 식물수집 · 증식 · 보존 등 - 교육적, 산업적 기능 - 식물학적 기능 위주 |
- 휴식, 운동 등 레크리에이션 - 시설이용 및 경관적 기능 - 식물학적 기능 없음 |
종류 | <국가별 양식에 따라 구분> - 한국 창덕궁 후원 - 프랑스 베르사유정원 - 중국 이화원 -일본 은하정원 |
<신촌지역의 특성에 따라 구분> - 경관형 - 소득창출형 - 복합형 |
<서식처에 따라 구분> - 고산식물원 -한대식물원, 열대식물원 -해안식물원, 새만금수목원 |
<이용목적에 따라 구분> - 어린이공원, 근린공원 -역사공원, 문화공원 - 체육공원, 묘지공원 - 도시농업공원 |
정원박람회의 효시
정원박람회는 1862년 런던 Kensington에서 RHS(Royal Horticulture Society)가 주관한 GreatSpring Show를 시점으로 제 모습을 갖추었다고 할 수 있음.
-1925년 파리 국제산업 장식물미술박람회는 정원을 문화이벤트의 주요 소재로 활용한 최초의 박람회라고 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정원이 접시숙제에 중요한 소재로서의 역할을 담당하도록 하는 계기가 됨.
정원박람회의 전파는 정원문화의 발달과정과 유사한 경로를 거치게 되는데, 영국을 중심으로 독일과 프랑스에서 정원박람회가 번성하였고 점차 미국과 아시아지역으로 확산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