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정원박람회 종합 분석
국제정원박람회
순천만 국제정원박람회
- 국제인증을 받은 국제수준의 정원박람회
- 생태라는 명확한 주제로 관람객들에게 어필
- 순천 도시재생 및 지역 발전에 이바지
정원박람회
서울정원박람회
- 서울시 내 노후공원의 재생 수단으로 활용
- 국제화를 위한 노력
- 정원전시 외에도 문화 활동 및 시민참여 프로그램과 결합
경기정원문화박람회
- 도시재생 수단으로 정원 박람회 활용
- 마을재생 및 시민주체 박람회로 확대 추진
- 공통점
- 정원을 도시재생
수단으로 접근
꽃박람회
고양 국제꽃박람회
- 화훼 산업과 연계하여 화훼 산업의 정보 교류 및 비즈니스 장으로 이용
태안 세계튤립축제
- 같은 장소에서 시기별로 여러 축제를 진행
- 야간 빛 축제
- 공통점
- 정원이 아닌
꽃(화훼)에 집중
국외정원박람회 종합 분석
2019 독일 BUGA 하일브론
- 도시의 그린 인프라를 새로이 조성하는데 중점을 둠
- 도시재생과 연계하여 체계적으로 준비
2019 독일 LAGA 프랑켄베르크
- 시민들이 필요한 공간 확충에 노력을 가함
(다양한 유형의 놀이터 조성) - 시민들이 직접 박람회장 내에 나무를 심는 참여 프로그램 마련
- 박람회 계획 단계에서부터 박람회 이후 활용방안을 고려
2017 독일 IGA 베를린
- 다양한 프로젝트(전시) 및 시민 참여 프로그램
- 시대적 상황을 반영하려 노력
- 계획 단계에서부터 지속 가능성을 고려
- 기존 부지를 훼손하지 않는 자연친화적 공간 계획
- 차별성
- 도시재생의 수단이자 기반시설로서의 정원박람회
영국 첼시 플라워 쇼
- 정원 디자이너들의 꿈의 무대
- 획일화되지 않은 다양한 형태의 상업 및 산업 부스
- 관람객의 흥미를 끌 수 있는 업체 선정
- 차별성
- 상업적 성격이 강함
프랑스 쇼몽가든페스티벌
- 정원과 예술의 융합 추구
- 매년 새롭고 참신한 주제 선정
- Honor's Garden을 통해 우수한 정원 작품 존치
- 차별성
- 정원과 예술의 결합 추구
- 공통점
- 1. 체계적으로 자리잡은 박람회 시스템
2. 국제적으로 경쟁력 있는 수준 높은 정원 전시
3. 각 박람회 만의 차별성(특징) 존재